생성형 AI, 금융산업 혁명의 서막

글로벌 금융사 적극 도입… 한국은 규제·역량 부족으로 뒤처져

[이지호 코리언저널 기자 ten@tenspace.co.kr] 생성형 AI(인공지능)가 금융산업의 지형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글로벌 금융사들이 앞다퉈 이를 도입하는 가운데, 한국 금융산업의 대응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자본시장연구원 이효섭 선임연구위원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생성형 AI의 확산으로 금융산업의 효율성과 혁신성이 크게 제고될 전망이다. 골드만삭스는 생성형 AI로 인해 향후 10년간 전 세계 GDP가 7%(약 7조 달러)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금융산업은 이 혁신의 최대 수혜 분야 중 하나로 꼽힌다.

글로벌 금융사들의 움직임이 눈에 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이미 2016년부터 AI 챗봇 ‘에리카’를 운영 중이며, 최근 생성형 AI를 도입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JP모건체이스는 400개 이상의 생성형 AI 활용 사례를 개발했고, 골드만삭스는 자체 LLM(대규모 언어 모델)을 구축해 기업 실적을 전망하고 있다.

보험업계에서도 변화의 바람이 거세다. 미국의 디지털 보험사 Lemonade는 생성형 AI로 개인 맞춤형 보험상품을 설계하고 보험사기까지 탐지한다. 스위스 Zurich와 일본 SBI생명도 AI 챗봇을 상품개발과 보험금 지급에 활용 중이다.

그러나 이러한 혁신의 이면에는 새로운 리스크도 도사리고 있다. 정보유출, 알고리즘 오류로 인한 금융시스템 혼란, 금융소비자 피해 가능성 등이 우려된다. 또한, AI의 판단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가 불분명하다는 점도 과제로 지적된다.

한국 금융산업의 현주소는 어떨까? 안타깝게도 글로벌 트렌드에 뒤처진 모습이다. 이효섭 연구위원은 “한국 금융회사들은 디지털 수용 능력 부족, 규제 제약 등으로 생성형 AI 활용도가 낮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세 가지가 제시됐다. 첫째, 금융회사 경영진의 적극적인 AI 도입 의지와 투자 확대다. 둘째, 망분리 규제 완화, 이종 데이터 결합 촉진 등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생성형 AI 활용에 따른 금융리스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규율체계 확립이 시급하다.

결론적으로, 생성형 AI는 금융산업에 새로운 기회와 도전을 동시에 제시하고 있다. 한국 금융산업이 이 흐름에 뒤처지지 않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금융권의 선제적이고 전략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다음의 HTML 태그와 속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 <strike> <strong>